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나랏돈을 풀기로 했습니다. 2025 민생지원금 지급액과 1차 지급일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신청 방법과 지급 방법도 알려드릴테니 꼭 집중해서 읽으시기를 바랍니다.
민생지원금 지급액 정리
1차 | 2차 | 합계 | |
상위 10% | 15만원 | X | 15만원 |
일반국민 | 15만원 | 10만원 | 25만원 |
차상위계층 | 30만원 | 10만원 | 40만원 |
한부모가정 | 30만원 | 10만원 | 40만원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원 | 10만원 | 50만원 |
민생지원금은 총 2차례 나눠서 지급됩니다. 먼저 1차 지급일에 소득에 따라 15만원, 30만원, 40만원씩 지급합니다. 2차에 소득 상위 10%를 제외하고 10만원씩 더 지급하게 됩니다.
・ 소득 상위 10%: 512만명
・ 일반국민: 4296만명
・ 차상위계층: 38만명
・ 기초생활수급자: 271만명✱ 소득 상위 10%는 건강보험료 납부 기준입니다 (더 알아보기👉)
민생지원금 1차 지급일
7월 초에 지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차 지급일은 한 달 뒤인 8월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
👉 정부24 (온라인)
👉 카드사 홈페이지 (온라인)
👉 주민센터 및 행정복지센터 (오프라인)
아직 정확한 신청 방법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만, 코로나 때 재난지원금 신청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이 유력합니다. 선착순 신청이 아니니 조급해 하실 필요 없습니다.
민생지원금 지급 방법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됩니다. 현금으로 직접 나눠주지 않습니다.
민생지원금 사용 기간
지급 받은 시점부터 3~4개월 안에 사용해야 합니다. 정확한 사용 기간이 나오는대로 본 글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민생지원금 FAQ
Q1. 민생지원금은 몇 살부터 받을 수 있나요?
A1. 전 국민 지원이기 때문에 0세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Q2. 군인도 받을 수 있나요?
A2. 받을 수 있습니다.
Q3.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A3. 1인당 최대 50만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4인 가족이면 200만원입니다.
Q4. 일반국민의 기준은 뭐죠?
A4. 소득 하위 90% 이하를 뜻합니다.
Q5. 민생지원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5.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은 1인당 2만원씩 더 받게 됩니다.
2025 민생지원금 지급액 및 1차 지급일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미리 신청 방법을 숙지하셔서 지원금 꼭 받으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