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임제 중임제 차이, 장단점 (+장기 집권 연장 포석?!)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5년 단임제인 현재 대통령제를 4년 연임제로 개헌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연임제는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장기 집권을 위한 포석일까요? 비슷한 용어인 중임제와 차이도 설명하겠습니다.

연임제 중임제 차이

연임제 중임제 차이

가장 큰 차이는 연속성 여부입니다.

  • 연임제: 차기 대선에 무조건 나와야 함
  • 중임제: 차기 대선에 나오지 않아도 됨

4년 연임제는 4년 동안 대통령직을 맡은 후 바로 다음 대선에 출마해야 합니다. 당선되면 총 8년 동안 집권할 수 있습니다. 떨어지면 다시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습니다.

4년 중임제는 4년 후 대통령 선거에 떨어지더라도, 다다음 대선에 출마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아예 출마하지 않고, 4년 뒤 재출마할 수도 있습니다.

단임제 장단점

가장 큰 장점은 독재를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현재 5년 단임제는 독재를 막기 위해 내린 결정입니다.

단점은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를 할 수 없습니다. 어차피 5년 후 권력을 내려놓기 때문에 단기 정책에 집중하게 됩니다. 레임덕도 빠르게 찾아옵니다.

연임제, 중임제 장단점

최장 8년이라는 기간이 있기 때문에 장기 정책을 추친하는 데 유리합니다. 4년 후 재집권을 해야 하므로 더 책임감을 느끼고 국정을 운영하게 됩니다.

단점은 재선을 위한 무분별한 포퓰리즘성 정책이 난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합니다. 8년 동안 정부가 바뀌지 않으면 세대교체가 되지 않고, 관료들의 고인물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장기 집권을 위한 포석?

현재 미국은 4년 중임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서 떨어졌지만, 2025년 다시 집권했습니다. 반면, 이재명 후보의 공약인 4년 연임제는 당선이 된 후 1번밖에 기회가 없습니다.

제21대 대통령 당선이 유력한 이 후보 입장에서 장기 집권에 불리한 중임제보다 연임제를 제안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어떠한 포석이 있는지 TV 대선 토론을 통해 지켜봐야겠습니다.

Leave a Comment